-
한국 전통 주거 양식 마루 구조를 현대 아파트에 적용한 인테리어 사례 분석한국 전통 주거 양식과 인테리어 융합 사례 2025. 7. 5. 23:21
한국 전통 주거 양식의 상징, 마루가 다시 주목받는 이유
한옥의 마루는 단순한 바닥재를 넘어서, 한국 전통 주거문화 속에서 자연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공간이었다. 마루는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중간 지점으로, 특히 바닥을 높게 올려 습기와 더위를 피하고 환기를 극대화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요즘처럼 기후 변화와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전통 마루의 기능적 장점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현대 아파트 거주자들 사이에서 마루 구조를 응용한 인테리어 시도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단순한 스타일적 재현을 넘어서 사람들의 관심이 많아진 기후와 공기에 따른 건강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실용적 선택으로 볼 수 있다. 마루는 단순한 ‘디자인 요소’가 아니라, 공간의 쓰임새와 생활 방식을 함께 변화시키는 강력한 매개체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 전통 마루의 구조적 특징과 현대 주거에 주는 영감
한옥의 마루 구조는 일반적으로 기둥 위에 설치된 평평한 나무 바닥이며, 바닥 아래 공간(‘굴뚝 없는 구들 구조’)을 통해 자연스러운 통풍이 일어나게 만든다. 이는 여름철 더위를 피하고 겨울철 습기를 막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현대 아파트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그대로 재현하기는 어렵지만, 마루의 ‘띄움 구조’ 개념을 아파트의 바닥에 반영하는 식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거실 바닥을 15~20cm 정도 높여 계단처럼 구분하는 '단 차이 공간'을 만들고, 그 아래를 수납공간이나 전선 배치 공간으로 활용하는 인테리어가 있다. 이렇게 하면 시각적으로 공간이 넓어 보이는 효과와 함께, 생활의 효율성도 높아진다. 또한 마루 특유의 따뜻한 원목 질감은 플로어링 마감재나 원목 강화마루를 활용하여 충분히 현대의 미적 감각으로도 재해석이 가능하다.
한국 전통 마루의 생활 방식이 현대 아파트에 미치는 긍정적 변화
마루는 단지 바닥이 아닌, 좌식 생활이라는 한국 고유의 전통 생활 방식을 전제로 한다. 마루 위에서 이불을 깔고 잠을 자거나, 가족이 둘러앉아 식사를 하거나, 창문을 열고 마루에 앉아 자연을 느끼는 행동들은 모두 인간 중심적이고 유기적인 삶의 형태를 반영한다. 현대 아파트에서 마루 구조를 도입하면서 자연스럽게 좌식 중심의 라이프스타일을 시도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특히 아이가 있는 가정이나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 마루 스타일은 안전성과 접근성 측면에서 훨씬 유리하다. 또한 좌식 생활은 척추에 무리를 줄이면서 동시에 공간을 더 넓게 활용할 수 있어, 실내 면적이 한정적인 아파트 구조에 매우 잘 맞는다. 마루 구조를 통해 삶의 방식이 달라지는 경험은 단순한 인테리어 이상의 가치를 제공한다.
실제 적용 사례와 마루 인테리어를 위한 실질적 팁
최근 서울 강남구의 한 신혼부부는 30평대 아파트 거실에 한옥 마루 구조를 적용해, 단차 있는 원목 바닥을 시공하고 거기에 한지 조명을 설치했다. 이들은 거실에 소파를 없애고, 전통 좌탁을 배치해 좌식 중심의 생활로 전환했다. 또한 천장에 노출 원목 보를 설치함으로써 공간 전체에 통일된 전통미를 구현했다. 이처럼 마루 구조를 현대 아파트에 적용할 때는 ▲내부 단차를 활용한 공간 구분 ▲원목 소재 선택 시 습도와 단열 기능 고려 ▲좌식 가구와 조명의 조화 등을 중심으로 접근하면 된다. 시공 없이도 마루 분위기를 내고 싶다면, ‘좌식 러그존’을 만들고 낮은 가구와 한지 스타일 조명을 더하는 방식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단순한 외형 모방이 아니라, 전통 마루의 ‘정신’—자연과의 조화, 기능 중심의 공간 활용—을 현대 주거 속에 녹여내어 인간 중심적이고 유기적인 삶의 형태를 추가 하는 것이다.
'한국 전통 주거 양식과 인테리어 융합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전통 한옥의 단열 원리를 현대 주택에 적용하면 생기는 변화 (0) 2025.07.07 한국 전통 주거 양식 중 창호 디자인을 현대적인 아파트 창문에 적용하는 방법 (0) 2025.07.07 한국 전통 주거 양식 중 한지 문양을 활용한 LED 조명 인테리어 디자인 사례 (0) 2025.07.06 한국 전통 기와지붕 대신 노출 천장으로 재해석한 전통 주거의 미학 (0) 2025.07.06 한국 전통 주거 양식 대청마루에서 영감 받은 리빙룸 설계법: 한국 전통의 미를 살리다 (0)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