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전통 주거 양식 대청마루에서 영감 받은 리빙룸 설계법: 한국 전통의 미를 살리다한국 전통 주거 양식과 인테리어 융합 사례 2025. 7. 6. 05:53
한국 전통 대청마루는 단순한 공간이 아닌, 삶의 태도를 담은 무대였다
대청마루는 단순히 ‘바닥’이 아닌, 한국인의 주거 문화 속에서 가장 공적인 공간이자 사적인 여유를 동시에 담아내는 복합적인 공간이었다. 한옥에서 대청마루는 좌우 방과 방 사이에 위치해 집의 중심을 형성하며, 바깥과 안쪽을 연결하는 ‘중간지대’의 역할을 했다. 또한 가족 구성원의 공동의 공간으로 함께 사용하는 공간이었다. 여름에는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고, 겨울에는 따사로운 햇살을 들이며 계절의 변화를 체감하게 해주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대청마루의 미학은 단순한 전통 양식이 아닌, 공간과 사람, 자연이 조화롭게 연결되는 한국 고유의 공간 철학을 담고 있다. 최근에는 이 전통 구조에서 영감을 받아 현대 아파트나 주택의 거실 설계에 새로운 형태로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의 정서적 안정감과 현대 생활의 실용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 전통 대청마루의 구조적 요소와 공간 철학을 현대식 리빙룸에 적용하는 방식
대청마루는 일반적인 실내와는 다르게 바닥을 지면에서 띄운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부 공간을 통한 자연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었다. 또한 사방이 트여 있어 자연광이 풍부하게 들어오고, 외부와의 시각적 연결성이 뛰어났다. 현대의 거실(리빙룸)에 이 개념을 적용하려면 물리적 구조를 그대로 모방하기보다는, 그 철학을 재해석해 구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거실을 집의 중심에 배치하고, 공간을 열어 자연광을 극대화하며, 통풍이 원활하도록 창문과 문의 배치를 조정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바닥재로는 대청마루처럼 밝고 따뜻한 느낌의 원목을 사용하고, 시선을 낮추는 좌식 가구를 활용하여 시각적인 안정감과 전통적 분위기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 이런 설계는 단순히 전해 내려오는 전통을 ‘따라 하는 것’만이 아닌, 현대 주거에 맞는 ‘전통의 진화’라고 볼 수 있다.
실내 생활 방식의 변화와 함께 살아나는 한국 전통 대청마루의 정신
코로나19 이후 ‘집콕 문화’가 확산되어서, 집 안에서의 활동량과 머무는 시간이 크게 늘었다. 이로 인해 거실은 단순한 TV 시청 공간을 넘어, 작업과 휴식, 운동과 사색이 모두 이루어지는 다기능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대청마루의 개방적이면서도 중심적인 구조는 거실 공간을 재구성하는 데 유용한 모델이 된다. 특히 가족이 모여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공간, 바깥과 이어지는 베란다 또는 창가 공간, 좌식 중심의 편안한 휴식 구조는 모두 대청마루의 핵심 특징과 일치한다. 현대 리빙룸을 이렇게 재구성하면, 전통의 여유와 현대의 효율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공간 구조는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어, 정신 건강과 라이프스타일의 질을 높이는 데도 기여한다.
실제 사례와 대청마루 기반 리빙룸 설계를 위한 실용 팁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한 40대 부부는 리모델링을 통해 거실 중심의 대청마루형 구조를 만들었다. 이들은 기존의 소파를 없애고, 밝은 오크톤의 원목 바닥을 깔아 공간을 확장했으며, TV 대신 창 밖 풍경이 보이는 방향으로 좌식 테이블을 배치했다. 그 결과, 자연광이 가득 들어오면서도 가족이 둘러앉아 책을 읽고 차를 마시는 전통적인 여유를 느낄 수 있는 안정감이 드는 거실이 완성되었다. 만약 아파트나 작은 주택에서도 이런 분위기를 내고 싶다면 ▲바닥재 선택 시 밝은 원목 또는 헤링본 패턴 활용, ▲벽면에는 한지 또는 한옥 문양이 들어간 패브릭 포인트, ▲조명은 낮고 부드러운 색온도(2700K~3000K)를 사용하고, ▲가구는 최대한 낮고 심플한 디자인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디테일 하나하나가 모여 전통의 ‘정신’을 담아내는 리빙룸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한국 전통 주거 양식과 인테리어 융합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전통 한옥의 단열 원리를 현대 주택에 적용하면 생기는 변화 (0) 2025.07.07 한국 전통 주거 양식 중 창호 디자인을 현대적인 아파트 창문에 적용하는 방법 (0) 2025.07.07 한국 전통 주거 양식 중 한지 문양을 활용한 LED 조명 인테리어 디자인 사례 (0) 2025.07.06 한국 전통 기와지붕 대신 노출 천장으로 재해석한 전통 주거의 미학 (0) 2025.07.06 한국 전통 주거 양식 마루 구조를 현대 아파트에 적용한 인테리어 사례 분석 (0) 2025.07.05